시도해야 알 수 있는 이야기


따뜻한 봄의 기운이 가득한 4월의 어느 날, 신촌문화관 wee사무실에서 wee매거진 토크를 진행했어요.

wee 매거진 편집팀은 다시 시작된 wee 37호의 여정을 독자분들과 함께하고 싶어 이런 저런 프로그램을 고민해 보다 37호 기획 회의 노트와 시안, 가제본, 더미 북을 함께 살펴보며 책 너머의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기로 했어요. 

어떤 분들이 wee매거진을 읽고 응원을 보내며 함께해주는지 궁금하기도 했고, 독자분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었거든요. wee사무실이 새로운 공간으로 옮긴 이래 가장 많은 인원이 함께한 시간이었죠.

편집장님과 디자이너, 에디터들의 소개 시간과 채용의 과정에 대한 시도의 이야기, 개편된 37호의 변화를 함께 나누었어요. 특히 37호는 판형이나 책등 등의 디자인 측면에서의 변화도 있었지만 '어린이와 함께, 어떻게 살 것인가' 질문하는 매체로서의 정체성을 녹여내는 일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어요.


"wee를 읽는 이들은 나만의 삶을 찾아가는 독자들이겠구나, 생각해요. 그러자 무수히 많은 문이 그려졌어요. 삶이란 열리지 않은 수많은 문 앞에 서 있는 순간이 많잖아요. 저 문을 열고 나갈까, 아니야 지금도 편하고 좋은데, 이게 맞을까? 고민의 나날이죠. 하지만 내 앞에 놓인 문의 키는 오직 나만이 찾을 수 있고, 내가 열고 나가야만 하죠. 여러 시도를 상징하는 '문', 나만의 답을 써내려 가는 '빈 칸'이라는 컨셉을 시각화하여 매거진 내에 담고자 했어요. 목차를 사각 박스로 디자인한 것이 신선하다는 의견을 들었는데, 하나의 기사가 한 개의 문으로 보이길 바란 의도였어요. 문을 열면 누군가의 삶에 초대받아요. 여러 질문을 통해 그의 일상을 엿보다, 인터뷰 후반 그 물음이 나에게 향하는 거죠. 타인의 삶을 통해 배우고, 나를 알아차리는 시간을 가지며, 하나의 문을 닫고 다음 문으로 향해요. 23개의 문을 여닫으며 내가 살고 싶은 삶과 시도하고 싶은 무언가를 위해 끊임없이 답을 고민해보면 좋겠어요. 그래서, 구독자들의 이름도 새로이 지었어요. 매거진을 지속적으로 읽고 관찰하는 정기 구독자들은 wee에 똑똑 노크하고 있는 이들로 weeknock, 문의 열쇠를 찾기 위해 wee와 더 깊게 연결되어 시도하고 싶은 구독자들은 weekey로 부르기로 했어요. 어제보다 나은 삶을 향해 노크하고 나아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 '김현지 편집장'의 말 중에서-



이 자리는 변화된 wee 매거진의 이야기 뿐만 아니라 오신 참여한 분들의 시도와 이야기들도 나누는 시간이었는데요, 참여한 아홉 분의 이야기도 들어볼까요?


30개월이 된 아이가 있는 이상지 님은 wee 매거진을 알게 된 지 얼마 되지는 않았지만, 편집장 님의 글을 여러 번 읽어보고 편집장 님을 꼭 한 번 만나보고 싶었대요. 마치 책을 좋아하면 그 작가의 사인회나 강연을 통해 작가를 만나러 가듯 매우 설레었다고 수줍게 알려주셨죠. (편집장 님의 사인도 받아 가셨답니다!)

엄마가 되어 느끼는 감정들과 생각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wee 매거진을 통해 다른 독자는 어떤 순간을 잡고 싶었을까 함께 이야기 나누고 싶다는 생각을 했대요. 자연속에서 산책하고, 따뜻한 빛 아래에서 책을 읽고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 마음에 드는 문장과 글귀를 읽으며 나의 감정과 느낌을 기록하고 다시 읽어보는 시간 속에서 설렘을 느끼는 상지 님. 지금까지 일한 결과물이 정리된 파일을 가지고 오셨고, 이런 기록물들을 모아 아카이빙 하는 것을 목표로 조금씩 실천하고 있다고 하셨어요. 우울하고 힘들고 괴로운 감정, 행복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느끼는 감정을 기록해 글을 쓰고 한 데 모아 책을 엮어 아이에게 선물하고 싶은 소망도 이야기했죠.


정민희 님은 어라운드 매거진을 통해 wee매거진을 알게 되었는데, 아이와 함께 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다가 아이가 서너 살쯤 되었을 때 구독해서 6살이 된 지금껏 wee매거진을 아껴주고 계신 분이었어요. 아이도 함께 wee매거진을 기다리며, 매거진을 받으면 함께 좋아하고 읽으며 추억을 쌓고 있다고요. 요즘 도서관에서 2-30권씩 책을 대출하면서 북 리스트를 만들어 요즘의 관심사와 취향을 모으며 얼마 전부터는 글쓰기 수업을 듣고 습작도 하고 하며, ‘하루 15분 글쓰기’라는 다짐을 실천하고 있다고 하셨어요.


SNS를 검색하다가 wee매거진을 알게 된 유보람 님은 결혼과 동시에 임신과 출산을 경험하면서 경력 단절의 시간을 겪으며 나를 잃어 가는 느낌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다고요. wee매거진 37호를 구독해서 읽으며 보람 님과 결이 비슷한 wee매거진을 통해 ‘용기내 시도해보자’, ‘나아가보자’, 라는 생각을 가졌다고 해요. 요즘은 나를 찾고 새로운 시도를 하기 위해 친구분과 함께 뉴스레터 발행을 위해 글을 쓰고 첫 발송도 하셨대요. 동화를 쓰는 일을 하고 싶어 습작을 해오면서 공모전에도 도전하기 위해 연습 중이라고 하셨고요. 가장 좋아하는 물건으로 아이의 사진을 가져오신 보람 님은 나를 잃기 않기 위해 꾸준히 무언가를 하고 있지만 아이 엄마 로서의 삶에도 최선을 다하는 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엄마의 삶 안에서 나를 놓지 않기 위해 새로운 시도를 하는 보람 님의 발걸음을 진심으로 응원해요.


여섯 살 딸의 엄마인 김윤희 님은 오랜 시간 직장생활을 하다가 올해 1월부터 가정에 집중을 하면서 혼란한 시기를 지나는 중이라고 하셨어요. wee magazine talk를 통해 가정에서 나의 의미를 찾는 시간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오시는 발걸음이 너무 설레었대요. 일을 할 때 가장 좋고 설렌다는 윤희 님은 일을 해 온 9년의 세월이 담긴 기록물을 가지고 와서 참여하신 분들과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졌어요. 전시 보는 것과 나에게 의미를 줄 수 있는 물건을 찾아 소품샵을 구경하는 것을 좋아하는 귀여운 취미를 가진 분이에요. 잠자고 있는 블로그와 SNS를 다시 시작해 소통하고 누군가에게 긍정적인 동기를 부여하고 싶어 글을 써보고 언젠가 그 글을 세상에 내놓고 싶다고 이야기 하는 민희 님이었어요.


그림 그리는 엄마, 올해 초등학교를 들어간 8살 아이의 엄마인 홍수영 님은 ‘오케이티나’ 라는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고 계세요. wee 매거진에 인터뷰이로 참여해 주셨던 만큼, wee 매거진과는 꾸준히 연결된 분이죠. 37호를 무척이나 기다리셨대요. 수영 님은 그림 도구들을 가져왔는데, 올해 그림을 그린 지 20주년이 되는 해라 무척 의미가 있는 시간은 보내고 있다며, 나의 그림, 작품을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을 고민하고 있는 중이라고 해요. 전시나 협업 등 어떤 형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수영 님 20주년의 결과물들을 볼 수 있는 시간이 너무나 기다려집니다. 훗날의 50주년을 상상하며 꿈을 이야기 하는 수영 님의 꾸준한 노력에 큰 감동을 받았어요.


강정아 님은 어라운드 매거진을 통해 wee 매거진을 알게 된 분인데요, 조카의 사진을 찍어주다가 아이들 스냅사진 작가로 활동하고 있어요. 사진 일을 하다 보니 결과물을 보고 만족해 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볼 때 행복하다고요. 아이들 사진을 찍는 일을 하면서 부모님의 사진을 남기고 싶은 목표가 생겼고, 엄마를 위한 포토북을 만들고 싶다고 하셨어요. 그래서 요즘 자주 엄마와 통화를 하며 엄마의 일상을 잘 들여다보고 흩어져 있는 일상을 엮어 나가는 일을 고민하는 중이래요.


강정아 님과 함께 스냅사진 작가로 활동하고 있는 김민희 님은 스스로를 ‘위노크’ 라고 하셨어요. 어떤 사람들이 wee 매거진을 만들고 어떤 분들이 wee 매거진을 읽는지 궁금했고, 요즘엔 사진 집을 어떻게 남기면 좋을까, 고민을 하며 프로그램을 공부하는 중인데, wee 매거진을 참고하며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고 이야기 해 주셨어요.


경이롭고 거대한 자연경관을 보는 것을 좋아하는 이원신 님은 오랫 동안 치열한 스타트업 세계에서 일하다, 최근쉼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해요. wee는 방학 동안 어떤 시간을 보냈는지 궁금했다는 질문을 주셨어요. 새로운 경험, 새로운 사람, 새로운 무언가가 일어날 때, 그리고 그런 것들을 보고 느끼며 깊은 의미를 알게 될 때 설렘을 느낀다며, 자급자족하는 삶에 열망을 느끼고 있어서 시간이 될 때 마다 자급자족하는 삶을 사는 사람들을 찾아보며 나에게 알맞은 때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씀해 주셨지요.


이해인 님은 weedi 2기와 3기로 활동하신 분이라 어쩌면 여기 계신 분들 중에 wee를 가장 잘 알고 계신 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wee를 좋아해서 weedi로 문을 두드리고, weedi를 하며 원하는 모습으로 나아가는 자신을 발견했다고 해요. 요즘은 내가 만든 도구를 세상에 내보내는 것에 대해 고민이 많다고요. 타인의 평가를 받아들이는 연습이 필요한 것 같다는 해인 님. 잠깐, 해인 님이 만드는 물건은 바로 '핀토 포인트'라는 커트러리 인데, weedi를 하면서 커트러리를 만들어 전시를 열어 보고 싶다는 바람이 생겼대요. weedi모임에서 편집장 님이 꿈을 묻자, 숨겨둔 이야기했고 실제로 이루었답니다. 해인 님이야말로 wee 매거진의 가치인 시도, 발견, 연결을 보여주신 분이라고 생각해요.  


이날 온 아홉 분의 wee 매거진 독자 분들의 이야기와 꿈을 들으며 웃다가, 울다가 했지요. 편집장 님은 말의 힘이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데요, 나의 시도와 그것을 말하는 용기, 미래를 품은 글을 내뱉는 순간 내 마음에 각인이 되어 누군가가 아닌 내가 이루게 할 거라고 하신 말이 오래도록 기억에 남아요. 어떤 마음으로 이 자리에 왔는지, 저마다의 꿈과 시도의 방법은 다르지만, 이날 온 독자 분들은 이미 그 시도의 발걸음을 시작한 분들이라는 것은 확실해요. wee에게 던진 질문들, wee가 계속 도전하는 이유, 주제를 정하는 과정에 대한 물음에 답을 고민하며 wee 매거진이 지나오고, 가야 하는 길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된 시간으로, wee 편집 팀에게도 너무나 의미 있는 시간이었어요.


언젠가 여기 오신 분들의 꿈들이 이루어져 “그때 말한 꿈을 이뤘어요” 하며 연락해 주시는 날을 상상하고 기다려요. wee 매거진도 독자 분들께 계속해서 묻고, 답을 들으며 다정한 콘텐츠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노력할게요. 


늘 wee 매거진에 보내주시는 응원과 애정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참, 이 자리에 못 오신, 더 많은 위키들에게도 질문을 보내요.


1. 무엇을 좋아하나요? 무얼 할 때 가장 설레나요?

2. 꼭 한번 시도해 보고 싶은 마음속 꿈틀거리는 일이 있나요?

3. 그걸 위해 오늘 바로 시작할 수 있는 작은 일은 무엇일까요?


우리, 함께 질문의 답을 적어보아요. 시도해야 알 수 있는 이야기. 우리같이 해요.


김여진 사진 wee team

070-4150-2017

wee.enough@gmail.com

Terms of Use

Privacy Policy

(주)위아이너프 | 대표 김현지 

서울시 서대문구 연세로2마길 14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현지 

사업자번호 439-86-03136 

통신판매업신고 2024-서울서대문-0387

COPYRIGHT  Ⓒ 2024 wee 
ALL RIGHTS RESERVED

(주)위아이너프

대표 김현지

서울시 서대문구 연세로2마길 14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현지
사업자번호 439-86-03136
통신판매업신고 2024-서울서대문-0387

Copyright  2024 wee All Rights Reserved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